상식 39

바다는 파란색인데 파도는 왜 흰색일까? {101가지 과학상식}

바다는 파란색인데 파도는 왜 흰색일까? © mganeolsen, 출처 Unsplash 우리가 자연에서 보는 모든 빛깔들은 서로 다른 방법으로 우리 눈에 들어온다. 물체의 분자들이 어떤 빛을 흡수하고, 또 어떤 빛을 반사하느냐에 따라서 물체의 색깔이 다르게 보이는 것이다 물은 원래 투명하다. 그러나 바다는 파랗고, 파도는 하얗다. 둘 다 똑같은 물이데, 왜 어느 쪽은 파랗고 어느 쪽은 흰색일까? 햇빛은 보통 물 깊이 10미터 안에서 모두 흡수된다. 만약 물속에 미생물이나 다른 물질이 많으면 빛은 더 깊이 들어가지 못한다. 그중 흡수가 가장 느린 파란색은 바다 깊은 곳까지 가게 되고, 물은 다시 그 파란색을 반사시키기 때문에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이다. 그러면 파도는 왜 흰색일까? 파도는 작은 알갱이로 되어 ..

상식 2021.06.09

학은 왜 한쪽 다리로 서서 자나?{101가지 과학상식(지경사)}

학은 왜 한쪽 다리로 서서 자나? © abedismail, 출처 Unsplash 꾸벅꾸벅. 분명히 서 있는데 졸고 있는 학. 그것도 기로 늘씬한 한쪽 다리로 서서 졸고 있다. 대부분의 새들은 잠을 잘 때 배로 바닥에 대고 머리를 등에 묻은 채 웅크리고 자는데 비해 학이나 두루미는 서서 잔다. 그것도 길고 늘씬한 한쪽 다리로 말이다. 학이나 두루미처럼 다리가 긴 새는 다리가 짧은 새처럼 배를 배를 바닥에 깔고 웅크리고 자는 것이 다 불편하기 때문이다 사람도 오래 서 있으면 피곤해지는 것처럼 서서 생활하는 새들도 다리가 쉽게 피곤해진다. 그래서 한쪽 다리를 깃털 속에 넣고 쉬면서 다른 한쪽 다리로 서 있는 경우가 많다 한쪽 다리로 서 있는 또 다른 이유는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얼음이나 물 위에 오래 서..

상식 2021.05.26

101가지 과학상식-욕조나 변기의 물은 정말 정해진 방향으로 돌면서 내려갈까?

101가지 과학상식- 욕조나 변기의 물은 정말 정해진 방향으로 돌면서 내려갈까? 지구는 스스로 동쪽으로 도는 자전 운동을 한다. 북극에서 적도를 향해 화살을 쏘면 지구가 조금씩 동쪽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화살은 약간 오른쪽으로 떨어질 것이다. 이렇게 운동을 하는 물체는 북반구에서는 오른쪽으로, 남반구에서는 그 반대인 왼쪽으로 향하는 힘을 받게 된다. 이런 힘을 발견한 사람의 이름을 따서 '코리올리의 힘'이라고 부른다. ※ 그러면 코리 올리의 힘은 물이 흘러가는 방향에도 양향을 미칠까? 코리올리의 원리대로라면 물도 북반구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면서 내려가고 뉴질랜드 같은 남반구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돌면서 내려가야 한다. ※ 실제로 북반구에서는 욕조나 변기의 물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남반구에서는 시계 방향으..

상식 2021.05.12

간지럼은 왜 탈까?

© amanda_sofia_, 출처 Unsplash 유난히 간지럼을 잘 타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 사람은 손을 겨드랑이나 발바닥 근처에 갖다 대기만 해도 웃음이 터져서 어쩔 줄을 모른다. 간지럼은 왜 탈까? 또 간지럼을 태우면 왜 웃음이 나올까? 더 궁금한 건 내가 나에게 간지럼을 태우면 왜 안가지러울까? 이 모든 궁금증을 모아서 한꺼번에 해결해 보자. 간지럼에는 두 종류가 있다. 벌레나 머리카락, 깃털 같은 것들이 피부에 붙어서 알게 모르게 느끼는 간지럼과 사람이 일부러 태우는 간지럼이 있다. 두 번째 간지럼을 '무거운 간지럼'이라고 한다 간지럼을 태웠을 때 웃는 것은 일종의 보호 반응이다. 간지럼을 태우는 공격자로부터 자극에 열중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실히 보여주기 위해 즉, 자신의 몸을 보호하기 위해..

상식 2020.08.17

기러기는 왜 V자로 줄을 서서 날아갈까?

© 12019, 출처 Pixabay 늦은 가을, 하늘을 올려다보면 안 떼의 기러기들이 V자를 그리며 날아가는 장면을 볼 수 있다. 멀리서 보면 웅장하고 아름답기까지 하다. 그런데 한 가지 이상한 점! 기러기 떼는 늘 V자를 이루며 날아간다는 것이다. 몇 마리가 뒤나 옆으로 밀려나도 또다시 V자가 되어 날아간다. 기러기는 왜 이렇게 신기하게 날아가는 걸까? 기러기는 철새로, 겨울철을 보내기 위해 먼 거리를 여행해야 하는데 오래 날다 보면 공기의 저항을 많이 받아서 힘이 많이 들기 때문에 양력을 이용하는 것이다. 기러기가V자로 줄을 서서 날아가면 앞에 가는 기러기와 뒤에 가는 기러기의 날개 끝에서 상승 기류인 '양력'이 만들어진다. 그러면 뒤에서 나는 새는 이 양력을 받아 훨씬 쉽게 날 수 있다. 때문에 이..

상식 2020.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