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andym10, 출처 Unsplash
자기가 목소리를 녹음해서 들어 보면 평소에 듣던 목소리와는 달리 아무리 들어 봐도 낯설기 짝이 없다.
감기에 걸린 것 같기도 하고, 쉰소리 같기도 하다. 내 입에서 나온 목소리를 녹음해서 들을 때, 직접 들을
때와 다르게 들리는 이유는 소기가 전해지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소리는 공기를 진동시켜서 귀로 전달된다. 그런데 내가 한 말은 공기를 통해 전달되기도 하지만
일부분은 귀 근처의 뼈를 통해 들린다. 즉, 내 목소리는 뼈와 공기를 진동시킨 소리가 같이 들리기 때문에
공기의 진동으로만 들을 때 보다 깊게 울리게 된다.
이런 현상은 과일이나 단무자, 과자를 먹을 때도 일어난다. 다른 사람이 씹어먹는 소리는 그다지 크게 들리지 않지
만 내 가 먹을 때는 큰 소리가 나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도 같은 원리이다.
이런 원리에 비추어 볼 때 녹음된 목소리는 공기를 진동시킨 소리만 녹음된 것이어서 다른 사람의 목소리를 듣는
것과 같은 원리로 내 귀에 들리기 때문이다.
출처 : 101가지 과학상식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러기는 왜 V자로 줄을 서서 날아갈까? (14) | 2020.07.14 |
---|---|
꽃에는 어떻게 꿀이 생길까? (21) | 2020.07.05 |
눈과 얼음의 차이는 무엇일까? (10) | 2020.06.07 |
파란색 장미를 만들수 있을까? (11) | 2020.05.24 |
송아지는 왜 태어나자마자 걸을 수 있을까? (9) | 2020.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