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giorgiotrovato, 출처 Unsplash
만화에서는 바나나 껍질을 밟고 넘어지는 장면이 심심치 않게 등장한다.
실제로도 길에 떨어져 있는 바나나 껍질을 밟았다간 순식간에 미끄러져 다
칠 수도 있다. 바나나 껍질에 기름이 있어서 이렇게 미끄러운 걸까? 바나나 껍
질엔 산성 성분과 당분 등이 많이 들어 있다. 바나나 껍질이 미끄러운 이유는 기
름이 있어서가 아니라 당분 구조가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이다. 바나나 껍질은 쓸
모가 아주 많다. 특히 가죽을 부드럽게 하는 성분이 많이 들어 있어서 가죽 제품을 닦는
데는 효과 만점. 또 바나나 껍질로 이를 닦으면 이가 일시적으로 하얗게 된다. 이것은 바나
나 껍질이 산성이기 때문에 이의 누런 부분을 벗겨 내리기 때문이다. 바나나는 열대 과일이기
때문에 생장 조건이 열대의 온도에 맞추어져 있다. 때문에 생장 조건과 맞지 않는 차가운 냉장고
에 넣어두면 검은 점이 생기고 물러져서 먹을 수 없게 되므로 냉장고에 보관하지 않는 것 이 좋다
출처:101가지 과학상식(지경사)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이나 오징어의 빨판은 무엇에 쓸까? (8) | 2020.02.14 |
---|---|
물방울이나 이슬은 왜 둥글까? (2) | 2020.02.13 |
반딧불이는 어떻게 몸에서 빛을 낼까? (6) | 2020.02.10 |
앵무새는 어떻게 말을 할 수 있을까? (15) | 2020.01.31 |
발 냄새는 왜 날까? -101가지 과학상식 (8) | 2018.01.31 |